'재고평가'는 쉬우나 '재고관리'는 어려워요.

2023. 3. 28. 17:52회계.세무.인사.조직

728x90
반응형

재고관리 방법이라고 하면 '선입선출법'을 먼저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하지만, '선입선출법 및 총평균법'은 '재고관리 방법'중에 '재고평가 방법'입니다.
'실지재고조사법 및 계속기록법'은 재고관리 방법 중에 '재고기록 방법'입니다.

'재고관리'는 제조업 뿐만아니라 제품.상품 등을 유통하는 업체 등 재고가 있는 곳이라면 반드시 필요합니다.

때로는 '재고'나 '재고관리방법'에 따라 기업의 사활이 결정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JIT(Just-In-Time) 시스템'입니다. '적기 또는 즉시공급생산 시스템'정도로 의역이 됩니다. 필요할때마 조달하고 생산하여 납품하는 재고보유 최소화 시스템입니다.

'JIT(Just-In-Time) 시스템'은 일본 '도요타 자동차'기업이 위기에 처한 회사를 살리기 위해 도입한 재고관리 시스템입니다. 결국 '도요타 자동차'는 살아났고, 'JIT시스템'은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세계 각 기업이 앞다투어 도입하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단점이 나타면서 'JIT 시스템'인기가 사그라졌습니다. 비록 'JIT시스템'인기는 사라졌지만, JIT시스템을 기반으로 각 기업에 맞는 유연한 재고관리 시스템으로 재탄생되었습니다.   

728x90


재고관리 방법

재고관리 목적 : 기업의 효율적인 재고관리를 통해 생산,유통,판매,소비에 이른 모든 활동의 효율성이나 유용성을 높이고 이익이나 효익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하겠습니다.

따라서 '재고관리'는 '기획 및 관리회계'측면이 강합니다. 


즉, '기획 및 관리회계'측면에서 '재고관리 방법이'나 '재고관리 시스템'이 결정되면, '생산이나 물류'담당부서에서는 정책결정에 따른 재고관리 방법을 통해 재고를 관리하게 됩니다.

1. 재고관리 시스템 

종합적인 재고관리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은 'JIT시스템'입니다.

그에 견줄만한 것이 '바코드 시스템'정도입니다.

'투-빈(Tow-Bin) 시스템'은 한상자가 비워지면 주문발주 하는 시스템입니다.

볼트나 너트등과 같이 부피가 적은 저가품 재고관리 시스템입니다. '종합적인 재고관리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순수 재고관리'에 치중한 시스템으로 볼 수 있습니다.

'재고관리 시스템'은 정해진 것이 없으며, 각 기업 특성에 맞게 존재할 수 있어 종류도 다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업체에 맞는 시스템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2. 재고기록 방법

(1) 실지재고조사법 : 실제로 재고를 파악하고 기록하는 방법(단점 : 재고조사시 까지 재고를 알 수 없음)
(2) 계속기록법 : 입.출고시마다 즉, 재고변동이 발생할 때 마다 기록하는 방법 
(단점 : 규모가 커질 수록 재고관리 시스템에 따라 적용이 어려울 수 있음.) 

* 실무적으로는 '실지 재고 조사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3. 재고평가 방법

(1) 선입선출법 : 먼저 입고된 것 부터 먼저 나간다는 가정하에 '단가'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방법
(2) 총평균법 : '주'나 '월' 등 '일정기간'을 정해 '합계평균'을 내어 '단가'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방법
(3) 후입선출법 : 나중에 입고 된 것이 먼저 나간다는 가정하에 '단가'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방법
(4) 이동평균법 : 매입시마다 그때 그때 재고와 합산하여 평균을 내어 '단가'를 산정하여 평가하는 방법

* 실무에서는 '선입선출법'과 '총평균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 : '계속 기록법'을 사용시에는 '이동평균법'으로 평가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