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0)
-
원가회계 분류만 이해 해도 원가회계가 수월하다
원가회계 및 계산에 입문한 사람나 시험을 보고자 하는 사람 뿐만아니라 원가회계를 오래 담당한 중견사원까지 원가회계 분류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알고 있는 내용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혼동이 와서 시험이나 실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 합니다. 왜 분류에 혼동이 올까요? 일단 원가계산 방법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결합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활동기준원가계산’ 이 많은 원가계산 방법 중에 어떤 것을 적용해야 실무적으로 가장 효율적일까요? 그리고 시험 공부는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까요? 저 많은 원가계산 방법을 동등한 계산 방법으로 생각하면 결론을 얻기 어렵습니다. ..
2025.04.18 -
개 위협 및 공격에 대처하는 방법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사람들이 외부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반려견과 산책하는 사람들도 많아 졌습니다. 그 중에는 풀어 놓은 사람도 있고, 맹견도 있습니다. 더불어 유기견도 많습니다. 개와 늑대는 같은 과에 속합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지능도 높습니다. 여러 마리가 동시에 사냥을 하거나 공격을 할 때는 분업도 잘 합니다. 개는 야생성도 있어 순간 돌변하여 주인을 공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개에게 물릴 경우 광견병이나 파상풍의 위험도 있습니다. 개와 마주쳤을 때는 항상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개 위협 및 공격에 대처하는 방법 1. 등을 보이고 뛰어 도망가면 안됩니다.등을 보이고 뛰어 도망가게 되면, 개의 사냥성과 공격성을 자극해 개의 공격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물론 등을 보이고 도망갈 수 있다..
2025.04.15 -
보수, 진보, 우파, 좌파, 우익, 좌익, 중도는 무슨 의미?
2024년 12월 3일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인 윤석열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였습니다. 그러나 국민들의 저항, 국회 계엄반대 의결, 계엄군의 비적극적인 행동으로 인해 몇 시간만에 끝났습니다. 이번 계엄은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직을 잘 수행했느냐 안 했느냐 와 상관없이 또한 보수 및 진보 상관없이 현시점에서 계엄은 잘 못 되었다는 의견이 대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혼란이 야기 되었습니다. 그 중심에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있었습니다. 대부분 국민들이 계엄은 잘 못 되었다고 정권 교체를 외치면서도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안된다는 보수 진영 논리가 만들어졌습니다. 그로 인해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도가 상승 되었고 계엄의 정당성이 생겼습니다. 왜 이렇게 비 논리적인 상황이 벌어 졌을까요? 2025년 ..
2025.04.09 -
주사업장 총괄 납부제도와 사업자 단위 신고 및 납부제도
부가가치세 신고 및 납부는 사업장별로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납세자 편의와 과세당국 편의를 위해 ‘주사업장 총괄납부제도와 사업자단위 과세제도’가 있습니다. 주사업장 총괄납부제도’와 ‘사업자단위 과세제도’의 큰 차이점은 => 신고는 별도로 하고 ‘납부’만 총괄하느냐 아니면 ‘신고 및 납부’ 모두를 총괄하느냐의 차이입니다.(1) 주사업장 총괄 납부제도 주사업장 총괄 납부제도는 본점 및 지점이 각 각 납부를 하는 경우나 본점에서 총괄해서 납부하는 경우나 그 납부 결과가 동일합니다. => 신고는 별도로 하더라도 납부는 총괄해서 납부하는 것이 과세당국이나 사업자 입장 모두 이득이 됩니다. => 결과가 동일한데 굳이 각 사업장 별로 납부하면서 쌍방 모두 행정력을 낭비하고 시간을 낭비할 필요가 없기에 총괄..
2025.04.08 -
법인세법상 ‘세무조정’과 ‘소득처분’ 이해
법인(주식회사)은 결산을 하고 나면 ‘법인세 신고’를 위해 ‘세무조정’을 하게 됩니다. 세무조정이란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당기순이익을 가지고 세법과의 차이를 조정하여 법인세법상 ‘차가감 소득금액’을 결정하는 과정입니다. ‘당기순이익’이나 ‘차가감 소득금액’은 같은 개념이라 보시면 됩니다. ‘당기순이익’은 기업회계기준 상 이익이고, ‘차가감 소득금액’은 법인세법상 이익을 의미합니다. 기업회계 기준에 따라 만들어진 이익을 법인세법에서는 그대로 인정하지 않기에 ‘세무조정’을 통해 법인세법상 이익을 만들고 공제 등을 차감하여 ‘과세표준’을 설정하고 거기에 ‘세율’을 곱해 세액을 산출하고, 기납부세액이나 세액 감면 등을 하여 최종 납부할 세액을 만듭니다. 즉, 소득세법이나 법인세법이나 그 계산 구조는 유사..
2025.03.14 -
‘선급금, 선급비용’이 화폐성자산이 아닌 이유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화폐성자산’과 ‘비화폐성자산’을 구분하다 보면 구분이 쉽지 않은 계정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선급금 및 선급비용’입니다. 얼핏 보면 ‘화폐성 자산’ 같은데 막상 확인해 보면 ‘비화폐성 자산’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럼 무엇이 이렇게 혼란스럽게 할까요? 그것은 ‘선급금 및 선급비용’이라는 계정명칭에 있습니다. 계정과목명과 유동성만 보면 ‘화폐성자산’이라는 착각을 일으키기에 충분합니다. 이론이나 기준으로 보면‘1. 화폐성자산 : 현금 및 확정되었거나 확정가능한 화폐금액으로 받을 자산’2. 비화폐성자산 : 화폐성자산 외의 자산예를 들어 보면‘1. 화폐성자산은 ’현금, 예금, 외상매출금, 받을어음, 대여금, 미수금, 유가증권 등‘입니다.’2. 비화폐성자산은 ‘선급금, 선급비용, 재고자산..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