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회계 분류만 이해 해도 원가회계가 수월하다

2025. 4. 18. 16:31회계.세무.인사.조직

728x90
반응형

 

원가회계 및 계산에 입문한 사람나 시험을 보고자 하는 사람 뿐만아니라 원가회계를 오래 담당한 중견사원까지 원가회계 분류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다 보니 알고 있는 내용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혼동이 와서 시험이나 실무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 합니다.

 

왜 분류에 혼동이 올까요? 일단 원가계산 방법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개별원가계산, 종합원가계산, 결합원가계산, 실제원가계산, 정상원가계산, 표준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활동기준원가계산

 

이 많은 원가계산 방법 중에 어떤 것을 적용해야 실무적으로 가장 효율적일까요? 그리고 시험 공부는 어떻게 해야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될까요? 저 많은 원가계산 방법을 동등한 계산 방법으로 생각하면 결론을 얻기 어렵습니다.

 

앞에 나열된 원가계산 방법은 서로 연결된 부분은 있으나 동등한 원가계산방법이 아닙니다. 원가계산 분류만 제대로 하여도 원가회계 및 계산이 수월해 집니다.

 

원가 계산의 핵심은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입니다.

 

1. 개별원가 계산

2. 종합원가 계산

3. 결합원가 계산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이외의 원가계산 방법은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로 아래의 측정방법에 따른 분류는 독립적인 원가계산 방법이 아니라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방법에 선택해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실제원가 계산

(2) 정상원가 계산

(3) 표준원가 계산

 

마찬가지로 아래의 원가구성에 따른 분류도 독립적인 원가계산 방법이 아니라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방법에 선택해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전부원가 계산

(2) 변동원가 계산

(3) 초변동원가 계산

 

마지막으로 제조간접비에 비중이 높아지면서 새롭게 등장한 활동기준원가 계산도 마찬가지로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방법에 선택 적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외부보고용인지 내부관리용인지에 따라 추가적인 방법을 선택 적용하면 됩니다. 특히 내부관리용일 경우 필요에 따라 적용방법을 수시로 달리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년 결산 외부보고용으로 작성하는 제조원가명세서를 위한 원가계산방법은 생산형태에 따른 분류 원가계산방법 + 실제원가계산방법 + 전부원가계산방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정상원가계산방법이나 표준원가계산방법은 월 결산 등에 효율적으로 원가계산을 하고 분석을 위해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변동원가계산방법이나 초변동원가계산방법은 내부 의사결정용으로 주로 활용됩니다.

 

더불어 활동기준원가계산방법은 생산을 자동화하면서 기업의 활동이 다양화 되면서 간접원가가 증가하게 되어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 간접원가의 증가로 말미암아 기존의 방법으로는 원가가 왜곡될 수 있다는 우려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활동기준별로 원가를 측정하여 대응시키면 보다 정확한 원가를 산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에 따른 전문인력과 장비가 추가 되어야 하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의미는 활동기준원가계산방법을 적용시 비효율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