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7. 14:25ㆍ회계.세무.인사.조직
현재가치 및 미래가치란? 단순히 말해 현재의 현금이 미래의 얼마의 가치가 되는가? 또는 미래의 현금이 현재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는가?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왜 이러한 가치 변동이 있을까요? ‘물가상승율’이나 ‘이자율’ 등 현금의 가치를 상승 또는 하락시키는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회계 및 재무관리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변수는 ‘이자율’입니다. 즉, 이자율로 인해 현재의 현금이 미래에 영향을 미치고 미래의 현금이 현재의 현금 가치와 다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변수가 존재하게 되면 가치가 변동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회계 및 재무관리에서는 추상적인 개념보다 금액 변동과 같은 실제 수치의 변동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단순하게 생각하면 됩니다. 더불어 변수는 대부분 ‘이자율’입니다.
즉, ‘이자율 및 기간 변동’에 따른 현재가치와 미래가치를 계산하면 되는 것입니다. ‘미래가치는 이자를 복리로 더하면 되고’, ‘현재가치는 미래 금액에서 복리 붙은 이자를 차감하면 됩니다. 연금은 연금으로 받는 금액마다 이자를 더하거나 차감하면 현재가치와 미래가치가 됩니다. (정해진 이자를 더하거나 차감할 경우에는 받거나(주거나) 받을 수 있는(줄 수 있는) 이자를 고려하여 계산합니다.)
연금의 개념은 매월 또는 매년 등 일정기간마다 일정금액을 연금형식으로 지급하거나 지불 받는 것을 통틀어 연금이라 통칭한 것입니다.
내용과 계산은 단순하지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단순 계산이 많아져 복잡해 집니다. 따라서 기간에 따라 미리 계산해 놓은 ‘현재가치율표(현재가치계수표), 미래가치율표(미래가치계수표), 연금 현재가치율표(연금 현재가치계수표), 연금 미래가치율표(연금 미래가치계수표)’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미래가치, 현재가치의 기본가정은 ‘복리’로 계산한다는 것입니다.
(참고1 : ‘연금 현재가치율(연금 현가율)’이 없을 경우, 해당 이자율의 현재가치율을 연도만큼 더하면 연금의 현채가치율이 됩니다. 예) 10% 1년의 현가율(0.9091) + 2년의 현가율(0.8264) = 연금의 2년 현가율 (1.7355)가 됩니다.)
(참고2 : ‘연금 미래가치율’은 ‘연금 현재가치율’처럼 구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시작 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미래가치율’을 합산해도 ‘연금 미래가치율’과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 미래가치, 현재가치 직접 계산 사례 예시 )
원금 10,000원, 이자율 10%, 기간 2년
미래가치 : 단순히 복리로 이자만 더하면 됩니다.
1년 후 미래가치 : 10,000 + (10,000 * 0.1) = 11,000원
2년 후 미래가치 : 11,000 + (11,000 * 0.1) = 12,100원
2. 현재가치 : 복리로 붙은 이자를 차감(할인)하면 됩니다.
1년 후 11,000원의 현재가치 : 11.000 – 1,000원 = 10,000원
2년 후 12,100원의 현재가치 : 12,100 – 1,100 – 1,000 = 10,000원
( 연금의 미래가치 및 현재가치 사례 예시 )
매년 10,000원씩 받음, 이자율 10%, 기간 3년
( 단, 현재시점은 0원, 1년 후부터 받거나 주는 것으로 가정 )
연금의 미래가치 : 연금으로 받을 시점에 과거시점에 받은 것을 고려하여 이자율을 이용해 하나하나 계산하여 합산하면 됩니다.
현재시점은 0원
1년 후 받은 연금의 미래가치 : 10,000 = 10,000원
2년 후 받은 연금의 미래가치 : 10,000 + (10,000 * 0.1) + 10,000 = 21,000원
3년 후 받은 연금의 미래가치 : 21,000 + (21,000 * 0.1) + 10,000 = 33,100원
2. 연금의 현재가치 : 연금으로 받는 시점에 이자율을 이용해 계산하여 하나하나 차감(할인)해주면 됩니다.
(연금의 현재가치는 현재시점에 일시에 받을 경우 연금의 현재가치로 보시면 됩니다.)
1년 후 받은 10,000원의 연금의 현재가치 : 10,000 – 909 = 9,091원
2년 후 까지 받은 21,000원의 연금의 현재가치 :
21,000 – 1,000 – 909 – 909 – 827 = 17,355원
3년 후 까지 받은 33,100원의 연금의 현재가치 :
33,100 – 3,100 – 909 – 909 – 909 – 827 – 827 - 750 = 24,869원
참고1 : 직접계산과 현가율표(현가계수표)...등과의 차이는 소수점이하 몇자리로 하느냐에 따라 미미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조정하시면 됩니다.
참고2 : 위에 예처럼 시간이 걸리더라도 하나하나 ‘직접 단순하게 계산’하는 방법과 ‘현가율표(현가계수표)...등’을 이용해 계산하는 간단한 방법외에 ‘공식’을 이용해 현가율...등을 구해서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이자율이나 물가상승율...등과 같은 변수가 없을 경우에는 미래가치나 현재가치가 변함이 없기 때문에 특별히 고민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가치를 변동시킬 변수가 있을 경우에는 변수에 의해 가치가 변동되므로 그에 따른 가치를 계산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가치 계산이 될 수 있습니다.
기업에서는 K-IFRS(또는 일반기업회계기준)에 의거하여 외부공시용으로 제공하는 것 이외에 사채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거나 투자를 할 때, 또는 각 종 평가를 진행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회계.세무.인사.조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인세법상 ‘세무조정’과 ‘소득처분’ 이해 (0) | 2025.03.14 |
---|---|
‘선급금, 선급비용’이 화폐성자산이 아닌 이유 (0) | 2025.03.11 |
회계상 거래의 의미만 알아도 회계처리가 쉬워진다. (0) | 2025.03.01 |
확정급여형(DB) 퇴직연금,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회계 처리 업무 (0) | 2025.02.14 |
소득세법사업자, 법인세법사업자, 부가가치세법사업자 이해 (2)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