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6. 16:41ㆍ회계.세무.인사.조직
'단식부기.간편장부.복식부기' 라고 전문용어가 사용되니 머리가 아프고 어려워 보이는데, 사실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1. '단식부기'는 우리가 일상에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본인의 방법대로 '가계부'나 '현금출납장'을 작성하는 방법을 의미한다고 보면 됩니다.
단식부기의 예)
2023.3.1 수입(월급) 3,000,000원
2023.3.2 00과 점심식사 22,000원
2023.3.3 00백화점에서 옷구입 330,000원
2023.3.4 교통비 5,000원
2023.3.5 간식 3,300원
--------------------------------------------------------------------
합계 3,360,300
2. '간편장부'는 단식부기와 형식은 같은데, '국세청'이 업무 편의를 위해 양식을 정해 놓은 것에 불과합니다.
간편장부 예)
2023년
---------------------------------------------------------------------------------------------------------------------------------------
일자 계정과목 거래내용 거래처 수입(매출) 비용(매입) 고정자산 증감(매매) 비고
금액 부가세 금액 부가세 금액 부가세
----------------------------------------------------------------------------------------------------------------------------------------
3.1 수입 월급 00회사 3,000,0000
3.2 식대 00과 점심 00식당 20,000 2,000
3.3 의류비 정장 구입 00백화점 300,000 30,000
3.4 교통비 출근교통비 버스.전철 5,000
3.5 잡비 간식 00편의점 3,000 300
-----------------------------------------------------------------------------------------------------------------------------------------
합계 3,000,0000 328,000 32,500
3. '복식부기'는 '단식부기'의 단점을 보완한 방법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거래가 많아지고 내용이 복잡해지면, 단순 나열식인 단식부기로 감당하기 어렵습니다.
거래가 많아지고 내용이 복잡해지는 만큼 오류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복식부기는 일부 '오류검증'이 가능합니다.
'복식부기'는 '거래 이중성(분개(차변 / 대변))'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계정과목'에 대한 '인과관계(원인과 결과)'를 보다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복식부기'는 '거래 이중성'에 따른 '대차평균의 원리'에 의해 '차변기록과 대변기록'이 일치합니다.
즉, 차변 기록(합계) = 대변기록(합계)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부 '오류검증'이 가능하게 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거래는 이중성이 존재합니다. '차변 과 대변'을 나누어 기록(분개, 회계처리)하면, 거래의 계정과목에 대한 '인과관계(원인과 결과)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분개(회계처리) 예)
차변 대변
-------------------------------------------------------------------------
3.1 보통예금 3,000,000 / 수입(월급) 3,000,000
3.2 식대 22,000 / 현금 22,000
3.3 의류비 330,000 / 카드 330,000
3.4 교통비 5,000 / 카드 5,000
3.5 잡비(간식) 3,300 / 외상 3,300
-------------------------------------------------------------------------
차변합계 3,360,300 = 대변합계 3,360,300
참고 : 분개(회계처리) 예)에서의 계정과목은 임의로 알기 쉽게 정한 것이고, 이해를 위해 부가세도 별도로 분개하지 않았고 적요(핵심 내용,거래내용)도 생략했음.
앞의 '단식부기 및 간편장부'는 '수입(월급)'을 '현금'을 받았는지 '보통예금'에 입금되었는지 알지 못했지만, '복식부기'에서는 '수입(월급)'이 '보통예금'으로 입금되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앞의 '단식부기 및 간편장부'는 합계가 단순 합계역할을 하지만, '복식부기'에서는 합계를 통해 오류까지 검증 할 수 있습니다.
요즘은 '회계프로그램'이 잘 나와 있어 어쩌면 간편장부(단식부기) 보다는 '복식부기'가 더 편할 수 있습니다.
'회계.세무.인사.조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개(회계처리)' 어렵지 않아요. (0) | 2023.03.10 |
---|---|
'법정휴일', '약정휴일','법정공휴일','휴일','휴무일' 법적 의미는? (0) | 2023.03.07 |
기업 '자금 유용'을 막을 방법은 없을까? (0) | 2023.02.20 |
'원가 관리'없이 '예산'을? (0) | 2023.02.18 |
'회계(會計)'는 뭐고 '부기(簿記)'는 뭔가? (0) | 2023.02.17 |